신원지역아동센터 광주광역시 북구 문산로 27-6 문흥동 2층 062-262-2771

이용시간 학기중 : 10:00 ~ 19:00
방학중 : 10:00 ~ 19:00
토요일 : 10:00 ~ 17:00
신원지역아동센터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공지/뉴스

지역아동센터의 다양한 뉴스와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저소득층 ‘아동센터’ 운영난 허덕(2009.01.21)

  • 작성자  신원지역아동센터
  • 날짜  2018-12-26 11:18
  • 조회수  77

저소득층 청소년들의 공부방인 지역아동센터가 정부와 지자체의 무관심으로 방치되고 있다.

경제난으로 센터를 이용하려는 청소년들은 급증하고 있지만 정부와 지자체는 오히려 지원금을 줄이고 있다. 저소득 계층의 ‘아늑한 쉼터’ 등 많은 역할을 하는 센터가 위기를 맞으면서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지역아동센터는 종교시설 등은 가정 형편이 어려운 청소년들을 위해 운영하던 ‘공부방’을 정부가 2005년부터 지원금을 주면서 제도권으로 편입한 사회복지시설이다. 광주 북구 문흥동 신원지역아동센터는 월 운영비가 최소 350여만원이 필요하지만 구청의 지원금은 200만원에 불과하다. 매달 150여만원을 시설장(센터장)과 생활복지사(교사) 등이 알음알음으로 성금을 모아 유지되고 있다. 신원센터의 정원은 46명이지만 지난해 상반기부터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신청자가 몰려 21일 현재 정원을 훌쩍 넘긴 63명을 돌보고 있다. 센터에 들어오기 위해 대기 중인 청소년도 10여명에 이른다. 범용석 시설장은 “생활복지사 2명, 자원봉사교사 2명, 조리사 1명이 오전 10시부터 오후 늦게까지 급식은 물론 학습지도 등을 하고 있다”며 “저는 무급봉사를 하고, 생활복지사는 50만~85만원, 자원봉사교사는 30만~40만원, 조리사는 30만원을 받고 있지만 매월 150만원 정도는 늘 부족해 운영이 힘들다”고 밝혔다. 지원금 208만원을 받는 경기 수원시 ‘열린학교 매탄동교실 아동센터’는 최근 센터에 들어오려는 저소득층 가정 어린이 7명을 돌려보냈다. 시설장 1명과 생활복지사 1명이 28명을 맡고 있어 안타깝지만 어쩔 수 없다는 게 센터 측의 하소연이다. 김은경 시설장은 “아이들에게 겨우 밥을 해먹이고, 하소연을 들어주는 정도의 서비스만을 해야할 처지로 몰리고 있다”며 “요즘은 후원금마저 뚝 떨어져 하루하루 나기가 정말 힘들다”고 털어놨다. 전국 각 지역 생활복지사들에 따르면 전국의 상황이 광주, 수원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문제는 올해 정부의 지원금이 줄어들게 돼 센터들의 형편이 앞으로 더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정부는 올해 전국 2788곳 센터에 월 216만원씩을 지원한다. 정부는 시설당 230만원의 예산을 책정했으나 국회 심의과정에서 깎였다. 센터가 주장해온 월 운영비 450만원에 크게 못 미치는 액수다. 센터 지원금은 정부와 광역·기초단체의 ‘매칭’ 예산이어서 정부 지원금이 줄어들자 지자체도 ‘지원금 깎기’에 가세하고 있는 실정이다. 광주 동구는 지난해 250만원을 지원하던 센터는 올해 177만원, 190만원을 주던 곳은 130만원으로 지원금을 줄이기로 했다. 시민단체들은 정부가 추경예산 때 예산을 더 확보하지 않는다면 지자체들까지 센터 지원금 확보에 관심을 두지 않을까 우려한다. 전국지역아동센터협의회 최선숙 정책팀장은 “경기가 악화되면서 지역아동센터 수가 크게 늘었는데도 정부나 지자체는 예산 탓을 하며 외면하는 실정”이라며 “그나마 아직 정부 집계에 포함되지 않은 센터 310여곳은 한 푼도 지원받을 수 없게 돼 청소년들이 길거리로 나 앉게 됐다”고 안타까워했다.

신원지역아동센터 | 광주광역시 북구 문산로 27-6 문흥동 2층 [지도보기]    Tel : 062-262-2771  Fax : 062-262-2783  E-mail : ysj662211@naver.com